2025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유형2 480만원 받으세요!

고용노동부는 청년 취업 활성화와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목적으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사업을 시행한다고 합니다.

기존에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은 기업의 고용 촉진을 목적으로 했다면 이번에 새로 시행하는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유형2“는 기업과 청년 모두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유형2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이란 정부가 일자리를 필요로 하는 청년을 지원하고 기업에게는 인건비 부담을 줄여 청년 고용을 활성화 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이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제도는 특히 취업이 어려운 청년이나 빈일자리 업종에서 청년을 채용하려는 기업을 대상으로 하며, 기업의 정규직 채용을 유도하여 고용의 안정성과 고용 지속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 목표인 국가 정책입니다.

1.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목적

✔︎ 청년 고용 촉진

✔︎ 기업 인건비 부담 완화

✔︎ 청년들의 장기 근속을 유도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유형2

2.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유형2 지원 대상

✔︎ 지원 대상 기업 조건

✔︎ 지원 대상 청년 조건

3.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유형2 지원 내용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유형1 지원 내용

✔︎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유형2 지원 내용

빈일자리 업종이란? 업종 목록

빈일자리 업종이란 고용시장에서 인력 부족으로 청년 채용을 장려하는 산업 분야를 말합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에서 대분류 ‘C’로 지정된 모든 제조업이 이에 해당하며 추가로 음식점, 농업, 해운업, 수산업 등도 빈일자리 업종에 포함됩니다.

1. 대분류 ‘C’로 지정된 제조업 빈일자리

번호 업종 설명
1 식료품 제조업 육류 가공, 빵 및 과자 제조, 유제품 생산 등
2 음료 제조업 청량음료, 주류, 차(茶) 제조
3 담배 제조업 담배 및 관련 제품 제조
4 섬유제품 제조업 섬유 방적, 편직, 의류용 직물 제조
5 의복, 의복 액세서리 및 모피제품 제조업 기성복, 액세서리, 모피 가공
6 가죽, 가방 및 신발 제조업 가죽 제품, 가방, 신발 제조
7 목재 및 나무제품 제조업 (가구 제외) 제재 및 목재 가공 제품, 목탄 제조
8 펄프, 종이 및 종이제품 제조업 펄프 생산, 종이 및 골판지 제품 제조
9 인쇄 및 기록 매체 복제업 인쇄 및 CD/DVD 복제
10 코크스, 석유정제품 및 핵연료 제조업 석유 정제, 석탄제품, 핵연료
11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제조업 (의약품 제외) 비료, 플라스틱, 합성고무 등
12 의약품 제조업 의약품 및 생물학적 제제 제조
13 고무 및 플라스틱 제품 제조업 고무제품, 플라스틱 포장재
14 비금속 광물제품 제조업 유리, 시멘트, 도자기 제품
15 1차 금속 제조업 철강, 비철금속, 합금 생산
16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기계 및 가구 제외) 금속 구조재, 탱크, 컨테이너 제조
17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제조업 컴퓨터, 통신장비, 광학기기
18 전기장비 제조업 모터, 발전기, 배전기, 가전제품
19 기계 및 장비 제조업 농업용 기계, 산업용 기계, 펌프
20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자동차 및 부품 제조
21 기타 운송장비 제조업 항공기, 선박, 철도차량
22 가구 제조업 목재 및 금속 가구
23 기타 제품 제조업 악기, 스포츠 용품, 장난감
24 산업용 기계 및 장비 수리업 기계 및 장비 수리 및 유지보수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주의사항

청년일자리도약지원금 신청 시, 꼭 주의해야 하는 사항들이 있는데요. 이를 지키지 않으면 지원급 반환 뿐만 아니라 공공재정환수법에 따라 제재부가금이나 수사기관에 통보될 수 도 있으니 아래 내용 다시 한번 확인하기 바랍니다.

1. 부정행위에 대한 제제

2. 원칙적으로 중복 지원은 불가능.

3. 지원금 신청 기한을 준수해야 합니다.

4. 지금금을 받을 수 없는 기업

5. 지원 대상 청년 자격 요건 확인.


경기가 정말 어렵습니다. 기업의 채용 시장은 점점 얼어붙고, 우리 청년들은 일자리 구하는게 하는에 별따기보다 어려워졌다고 합니다.

사람들은 말합니다. 청년들이 힘든일을 하기 싫어한다고. 하지만 막상 현장에 보면 일이 힘든 것은 둘째치고 청년들을 위한 안정적인 양질의 일자리를 찾는게 정말 어렵다는 현실을 알 수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런 청년일자이도약장려금 같은 국가 정책이 더 많이 생겨, 우리 청년들이 고용의 불안 없이 미래를 설계할 수 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