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찾아오는 반가운 명절 추석 전에 산소 벌초를 준비하는 분들 계신가요?
예초기를 사용 하다가 안전사고가 일어나는 경우가 정말 많다고 합니다.
예초기로 벌초시 안전사고를 막기 위한 사용 전후 주의사항도 소개드립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
| 살빠지는 다이어트 과일 11가지 부동액 냉각수 부족 증상, 해결방법 알려드려요. 농지취득자격증명 면제, 필요 없는 경우 16가지 개인파산신청 방법 및 자격, 불이익까지 한방에 |
벌초시 예초기 안전사고 조심하세요!
벌초 시기와 벌초 뜻

1. 벌초 뜻
▒ 벌초란?
벌초란 한식이나 추석 성묘 이전에 조상의 묘에 자란 풀이나 나무를 베어내고 묘를 깨끗하게 하는 일입니다.
예전 유교사회는 조상을 잘 섬기는 것이 매우 중요한 덕목이었고 조상의 묘를 보살피고 보존하는 일 또한 살아생전 부모를 모시는 것처럼 효행으로 인식이 되었다고 합니다.
산소 묘와 주변의 풀들을 잘 다듬고 잔디(떼)를 입히며 효를 행하고, 이러한 벌초 풍속은 1990년대 초부터 벌초 대행업체의 등장과 함께 변화가 되고 있지만 여전히 유교정신을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지속되고 있습니다.
2. 벌초 시기
▒ 벌초 시기는 언제일까요?
보통은 백중百中(음력 7월 15일)날 이후부터 추석 전에 모두 이루어 집니다.
백중 이후 풀의 성장이 멈추고 추석 전에 벌초를 하면 오랫동안 깨끗이 손질된 묘가 유지되기에
추석 성묘 전에는 꼭 벌초를 합니다. 벌초를 하는 이유는 무성한 풀들이 묘를 덮어 보기도 흉하지만
자손 없는 묘로 여기기도 하고, 자손이 있어도 벌초를 하지 않는 행위가 불효로 보여진다고 합니다.
지방인 경상남도 지역에서는 추석 전 벌초를 해두지 않으면 큰 불효로 여겼으며
벌초가 있는 날은 집안 여러 친척들이 날짜를 정해서 함께 모여 벌초를 하러 간다고 합니다.
예초기 날 안전사고 사례

1. 예초기 안전사고
▒ 추석을 앞두고 벌초 중 예초기를 사용하다가 나는 사고가 매년 발생 한다고 합니다.
예초기 사용시 발생한 안전사고는 성묘 전 벌초 작업이 집중되는 9월에 가장 많았으며
최근 3년간 한국소비자원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에 접수된 예초기 관련 안전사고는
‘총 219건’으로. 지난해는 전년 대비 82.5% 증가한 77건에 달했습니다.
2. 예초기 안전사고 사례
▒ 예초기 날에 ‘발·다리’ 등이 ‘베이거나 찢어지는’ 사례
* 위해 부위별 사고
– 발·다리에 상해를 입은 사례가 절반 이상 64.2% (140건) 대부분
– 손·팔 27.5%(60건), 머리·얼굴 5.5%(12건), 어깨·목 1.8%(4건) 등의 순
* 위해 증상별로 분석
– 날카로운 날이 고속 회전하여 피부가 베이거나 찢어지는 ‘열상·절상’이 89.0%(195건)
– 골절 5.5%(12건), 절단 3.7%(8건), 안구 손상 1.4%(3건) 순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ISS)에 접수된 사례를 살펴보면,
날에 의한 직접 상해 외에도 돌과 날 파편이 튀어 작업자나 주위 사람들이 다치는 경우,
안전장치를 제대로 고정하지 않아 발생한 상해사고도 확인됨
예초기 사용 주의사항

1. 예초기 사용전 주의사항
▒ 1. 사용 전 주의사항
-
작업목적과 용도에 맞는 날 준비, 예초기 보호 덮개를 반드시 부착할것
-
칼날의 부착 상태와 예초기 접합 부분 볼트나 연결핀 체결 여부 확인
-
작업 장소 주변에 돌, 나뭇가지, 금속 파편 등 예초기 날에 부딪혀 튈 수 있는 이물을 사전 제거
-
안면 보호구, 작업화, 보호안경, 무릎보호대, 장갑 등 안전 장비 반드시 착용
-
신체를 보호할 수 있는 긴 옷 등 복장 착용
-
사용 전 칼날의 상태·부착 상태와 작업봉 결합 여부, 배터리 안전 등을 점검
-
취급설명서 상의 올바른 사용법과 안전 사용 수칙을 사전에 숙지
2. 예초기 사용시 주의사항
▒ 2. 사용 시 주의사항
-
예초기 날이 돌과 비석 등에 부딪히지 않도록 주의
-
벌초·잔디 베기 등 기존 용도 외에 용도로 사용 금지
-
예초기 날에 풀과 이물질이 끼었을 때 혹은 다른 장소로 이동 시 반드시 전원을 끄고 진행
-
비산물이 튈 수 있으므로 작업하는 작업반경 15m 이내 사람이 접근하지 않도록 조치
-
바람이 강하게 불거나 비가 오면 야간 작업 금지
-
칼날 금이 가는 등 비정상적인 작동을 확인한 경우, 즉시 작업을 중지하고 문제를 해결
3. 전기충전 예초기 관련 주의사항
▒ 3. 전기충전 예초기 관련 주의사항
- 제조사별로 제품에 맞는 배터리 사용 (예초기 배터리 종류가 다름)
- 여름철 차량 실내나 전열기기 주변 등 발열 공간에 배터리 보관 금지
- 충전케이블이 손상이나 합선 되지 않도록 케이블 보관시 주의
- 작업 전 사전작동과 베임 정도 등을 꼭 확인, 접이식 제품은 동력 차단 방법 등을 확인할것
벌초 유의사항

1. 추석 벌초 유의사항
▒ 추석 명절이 되기 전 조상님의 산소를 벌초 하기 위해서 예초기를 사용하시는 경우
작업 전후의 주의사항 들을 잘 숙지하셔서 안전하게! 부디 사고가 없으시길 바랍니다!
올해도 즐거운 추석 한가위만 같아라~ 행복하세요!
[참고자료] 산업통상자원부 보도자료를 참고 하였습니다.
⨈ 생활정보 최신글
- 에어컨 전기요금 계산기, 인버터형 vs 정속형(일반) 2025년 최신
- 에어컨 하루 8시간 사용하면 전기세 얼마? 에어컨 전기세 30% 줄이는 방법
- 지역화폐 구매 한도 200만원 상향, 놓치면 후회할 꿀팁 대방출!
- 민생회복 지원금 소득 상위 10% 제외 기준, 헷갈리지 마세요!
- 불면증 자가진단 테스트, 자가치료
- 상큼한 레몬 효능 7가지 부작용 빠르게 알아보자
- 화장실 욕실 곰팡이 제거 100% 초간단 꿀팁 3가지!
- 건강보험 미납, 급여정지부터 압류까지… 지금 몰라도 나중에 돈 셉니다
- ChatGPT error message, Something went wrong while generating the response. If this issue persists please contact us through our help center at
-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지금 신청 안 하면 최대 1,600만원 놓칩니다
- 다자녀 전기요금 감면, 기준만 되면 무조건 할인됩니다 (2025년 최신)
- 장애인 전기요금 감면, 매달 깎아준다는데… 아직도 모르세요? (2025년 최신)
- 2025년 기초수급자 전기요금 감면 혜택, 지금 신청 안 하면 손해입니다
- 2025년 전기요금 감면 완벽 가이드: 대상부터 신청까지 한눈에 정리
- 잠실 상품권 매입 실시간 시세 확인 최신 TOP5

















